전부 암기는 필수입니다
PV (Page view)
- 페이지가 읽힌 횟수
- 같은 사용자가 여러번 방문할 시 방문하는 횟수만큼 카운트
- 다른 지표(이탈률,방문자 수 등)과 함께 분석해야 페이지 개선점 도출 가능
- PV가 높다 = 많이 봤다
- 특정 페이지의 PV가 높다 = 가장 인기있다.
UV (Unique Vistior)
- 순수 방문자 수
- 같은 사용자가 여러번 방문해도 1명으로 카운트
- PV와 UV의 차이는 크면 클수록 좋다. 하지만, 그차이가 UV의 감소라면 외부유입점검이 필요
- 방문수보다 보수적이며 실제 해당 사이트가 얼마나 많은 이용자를 보유하는가를 측정하는 지표
DAU (Daily Active User) - 일일 활성 사용자수
WAU (Weekly Active User) - 주간 활성 사용자수
MAU (Monthly Active User) - 월간 활성 사용자수
- 유튜브의 경우 조회수/구독자수와 같은 의미를 지녔다 생각하면 됨
- 자사 쇼핑몰/앱/서비스를 얼마나 많은 이들이 이용하고 있는지 말해주는 지표
- 투자유치를 위한 핵심지표 - 유저수는 보수적으로 공개하며 UV수치로 표현
SEO (Search Engine Optimization)
- 검색 엔진 최적화
- 유저들의 자연적인 유입으로 인해 상단노출이 되는것
- 보통 SEO가 잘되어있는 사이트일수록 여러가지 성과가 좋음
- 메타키워드 사용 - 검색을 했을때 서치엔진이 해당웹사이트를 상단에 보여줄 수 있는 근거
- 메타키워드는 딱히 제한을 안하고 있기에 최대한 많이 넣는것도 좋다.
오가닉 (Organic)
자연스럽게 알고 들어온 유저
우리 브랜드를 알고 들어온 유저이지만 검색광고를 클릭한 것이 아닌 사이트명을 클릭해서 들어온 유저
리드 (LEAD)
회원가입
바이럴 마케팅
- 입에서 입으로 구전되어 확산되는 마케팅
- 광고영역이 아닌 정보습득의 영역에서 행해진다.
- 마케팅으로 인식하지 않을 확률이 매우 높아 그 정보를 순수하게 받아드릴 확률이 높다.
- 핵심 - 대세감 조장 - 컨텐츠에 노출된 사람에게 유행에 편승하도록 유도
객단가
- 고객 한 사람이 평균적으로 구매하는 금액
- 객단가가 높으면 높을수록 ROAS는 높게 책정된다.
- 그렇다고 객단가를 무조건 비싸게 형성하는것은 전환률을 박살낼 수 있기에 객단가를 높일 수 있는 전략이 요구
- 묶음상품(번들) 구매 유도 , 앵커링효과이용 (ex.옵션 배치를 바꾸는 것) ← 기준점 설정 및 조정 (넛지)
직접전환 - 광고를 클릭하고 곧바로 발생하는 전환 (30분 미만)
간접전환 - 직접전환이 아닌 시간이 지난 뒤 또는 기여기간 내에 발생한 전환
기여기간 - 광고를 조회/클릭한 후 구매가 발생할 때까지의 기간 (28일,10일,7일 등 매체마다 다르니 체크)
위 내용에 대해서는 아래 게시글을 참고하길 바란다.
CTA (Call To Action)
- 사용자 반응을 유도하는 행위 또는 요소
- 쉽게 생각하면 사용자 반응을 유도하는 버튼
- (ex. '바로가기','설치하기',알아보기','회원가입' 등과 같은 버튼이라고 생각하면 쉽다)
다음 2편에서 이어 작성토록 하겠다.
'마케팅 기초다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CPM의 역사 (0) | 2024.05.26 |
---|---|
온라인 마케터가 알아야 할 주요 용어 2 (1) | 2024.05.14 |
메타의 기초 (0) | 2024.05.14 |
직접전환과 간접전환의 이해 (0) | 2024.05.07 |
AARRR의 의미와 각 단계별 수행 (1) | 2024.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