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케팅 기초다지기

직접전환과 간접전환의 이해

우리는 직접전환과 간접전환 간의 이해관계를 잘 알고 이용해야 한다.

 

직접전환 - 광고를 클릭하고 곧바로 발생하는 전환 (30분 미만)

간접전환 - 직접전화이 아닌 시간이 지난 뒤 또는 기여기간 내에 발생한 전환

기여기간 - 광고를 조회/클릭한 후 구매가 발생할 때까지의 기간

                  (28일,10일,7일 등 매체마다 다르니 체크) 

 

기여기간이 생긴 이유는 광고매체사가 본인들에게 유리하게 데이터를 보여주기 위함.

이거때문에 간접전환을 이해하면서 헷갈릴 수 있지만 간접전환은 분명히 기여기간에 영향을 받는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바로 직접전환과 간접전환을 구분해서 보아야 한다.

그리고 간접전환의 영향이 가장 큰 매체가 무엇인지 솎아내면 된다.

 

직접전환은 GA4 또는 각 호스팅사의 트래킹 솔루션으로 확인 가능하다.

 

만약 GA4에서 전환이 10개가 발생했을때

검색광고의 직접 전환 수가 6개

Organic 전환이 2개,

SNS 전환이 2개다.

→ 합이 10개 = 직접전환 수 맞춘거다.

 

그런데 SNS광고 관리자에서 전환이 5로 잡혔다.

→ 그렇다면 SNS의 간접전환은?

     3개

 

위 예시처럼 검색광고 역시 총 전환은 정확히 안 맞을 수 있다.

 

그런데 우리 간접전환의 수만 확인하고 말면 될까?

그렇지 않다.

뭐든지 판단과 결정을 내리기 위해서는 반드시 상대지표를 사용해야 한다.

 

간접 전환비 (지원 전환율)을 사용하면 된다,

 

※ 간접 전환비 = 간접 전환 수 / 직접 전환 수 ※

 

앞선 예시에서 SNS 광고 관리자의 직접전환이 2 , 간접전환이 3

위 식을 적용했을때 3(간접전환) / 2(직접전환) = 1.5 

 

간접 전환비 = 1.5가 된다.

 

간접전환비가 의미하는 바는 무엇일까?

간접전환비가 0에 수렴할수록 직접 전환의 비율이 높다로 해석가능

 

즉, 간접전환비는 낮을수록 좋다

※ 통상적으로 간접전환비는 0.6까지가 봐줄만한 수치

    반대로 1에 가깝거나 1보다 클수록 간접전환의 비율이 높다. (따라서 1.5 는 매우 높은 수치)

    통상적으로 0.7이상부터는 높은 수치

 

그렇다면 간접전환비가 높은 매체에 광고비를 많이 지출하고 있다면 어떻게 할까?

→ 직접전환이 높은 매체까지 동반하여 지출을 늘려야 한다.

ex. 유튜브 광고의 간접전환비가 1.2 , 검색광고의 간접전환비가 0.4라면 검색광고의 지출을 늘리는 개념

 

간접전환비가 높다는 것다른 광고 매체의 광고 예산이 동반 상승되는 문제

즉, 총 광고 예산이 상승될 수 있는 결과를 초래

 

그렇기 때문에 충동구매 욕구를 자극시켜 구매를 이끌어내야함.

그것도 아니라면 SEO를 완벽하게 끝내는 방법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