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A

GTM을 활용한 GA4(구글애널리틱스) 설치하는 법 (카페24.ver)

준비물 : 구글 계정 , 카페24 계정 (무료쇼핑몰사용)

 

당연한 얘기겠지만 구글에 구글애널리틱스 검색하고 들어가시면

엥? 구글 태그 매니저로 연결되는 것을 볼 수 있을 겁니다.

 

당황하지마시구, 우측상단에 ㅁ4개붙어있는거 클릭하면 구글애널리틱스 보일겁니다.

그거 클릭하시면 됩니다.

 

그렇다면 이런 화면이 나올건데

계정명은 그냥 사용자 본인이 식별하기 편한걸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일단 저는 '영신놈_TEST'로 입력하고 진행하겠습니다.

 

해당 계정생성 단에서는 그냥 계정이름만 설정해주시고 넘어가주면 됩니다

자 속성입니다.

 

속성을 굳이 설명하자면.. 계정안에 속해져있는 하나의 단위라 생각해주시면 되는데,

예를 들어 회사 계정인데, 자사브랜드가 정말 많아요

그럼 저게 없다면 계속 계정을 생성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으니, 한번 더 구분할 단계를 만들어 줬다~ 생각하시면 됩니다.

속성이름 = 본인 편한걸로 설정하시고,

시간대 = 본인 사는 지역 시간대로 설정하시고,

통화 = 우리는 대한민국 사니까 대한민국으로 설정해주세요.

※ 만약 해외거래처와의 거래로 주거래 통화가 외화라면 해당 통화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자 솔찍히 여기는 사실 그냥 아무거나 설정해주셔도 괜찮습니다.

크게 영향 없어요.

그래도 본인은 자기 회사에 맞게 설정하고 싶다?!

그렇게 설정하시고 다음으로 넘어가시면 됩니다.

 

자 비즈니스 목표 선택

 

꽤나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는 부분입니다.

해당 부분에서는 여러분의 비즈니스에 맞는 목표를 설정해주시면 되는데,

이게 각각 무슨 차이가 있냐면

어떤걸 선택하느냐에 따라서 추후에 보고서 내용이 조금씩 달라집니다.

 

하지만 보고서에 들어갈 내용은 추후 저희가 보고서 작성할 때 설정할 수도 있기 때문에

지금은 그냥 표준화된 내용으로 볼 수 있는 기준 보고서 보기를 선택하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이런 약관내용이 나오는것을 볼 수 있을텐데,

(약관내용은 혹시 몰라서 가려놨습니다. 근데 저거 읽는 분 계시나요?ㅎㅎ)

 

동의합니다 체크하고 넘어가시면 됩니다.

어차피 동의 안하면 사용못하게 할거면서 왜 이렇게 물어보나...큼큼

 

 

자 그럼 여기서는 우리가 사용하는 플랫폼을 설정할 수 있는데,

GA4로 변경되면서 웹 뿐만 아니라 AOS, IOS 를 별도 설정할 수 있게 만들어뒀다 하더라구요.

그냥 여러분들이 운영하시고 필요로 하는 플랫폼 클릭하시면 됩니다.

일단 저는 오늘 카페24 웹사이트를 기준삼아 설치해볼 것이기에 웹 선택하고 넘어갈께요.

 

 

자 위에서 딱 선택을 했잖아유? 그럼 이 창이 따란 뜰겁니다.

그러면 각자의 웹사이트 URL 적어주시면 되는데

마찬가지로 저기 웹사이트 URL 적는란에 우리 사이트 URL 적는다고 해서

자동연동이 되는 것이 아니기에,(식별할 목적으로 적는 것)

저는 일단 TEST.com 이라고 하겠습니다.

 

스트림은 웹/앱을 구분하는 용도인데,

만약 둘다 사용하신다면 그냥  사이트명_앱 / 사이트명_웹

이런식으로 설정해주시면 됩나다.

저희는 일단 웹만 사용할 예정이니 그냥 '영신놈_TEST'로 적고 넘어가겠습니다.

 

 

그러고 나서 저 향상된 측정이라는 것 우측에 쭉 가보면 톱니바퀴 있죠?

그거 누르면 해당 화면이 딱 뜰겁니다.

 

각각의 기본 측정항목(이벤트)라 생각해주시면 되는데,

이게 구글이 정말 기본적으로 측정하는거라 사실 추후에 저희가 성과측정을 할때 유용한 건 별로 없어요.

 

그렇기 때문에 저희는 추후에 저희한테 아주 유용하게 이벤트 설치하고 그럴거라

저는 사이트 검색 제외 모든 항목을 일단 제외할겁니다. 페이지 조회는 필수 기능이에요 :) 

이거 하나하나 설명드리기엔 흠..너무 기니까.. 일단은 아래 표 참고하세요

일단 매개변수는 지금 단계에서는 사실 너무 어려운 내용이니 무시하시고,

 

이중에서 간단하게 하나만 설명드리자면

사이트검색

요놈은 켜주시는게 좋습니다.

 

말그대로 우리 사이트에 검색창이 있어요.

그럼 고객이 와서 거기다가 어떤 키워드를 검색했는지 볼 수가 있는 이벤트입니다.

구글에서 기본으로 제공해주는 측정항목 중 그나마 가장 쓸만합니다.

 

예를 들어 우리 플랫폼이 온라인 쇼핑몰이다 가정했을때,

여성의류 관련 광고를 보고 클릭해서 들어온 고객들이

검색창에 벨트, 신발,향수 등 다른 어떤것들에도 관심이 있는지를 파악해서

추후 광고후보군 설정에 도움이 될 수 있겠죠?!

 

어차피 이벤트와 관련해서는 추후에 할 일이 많습니다.

일단 이렇게만 이해하고 넘어갈께요

 

스트림 만들기 클릭

 

스트림을 만들고 나서 직접 설치를 눌러보면

이런 화면이 나올텐데

해당 제가 가려놓은 부분을 포함한 전체내용 

해당 내용을 복사해서 HTML에 직접 삽입해서 직접 설치해도 됩니다.

gtag를 활용한 설치 방법인데, 이거 하실 분들은 그냥 이거하시면 됩니다.

설치방법도 쉽고 그런데 확실히 쉬운만큼 추후에 귀찮아지기 때문에

저는 그렇게 안하고 구글태그매니저를 활용할 거기 때문에 해당 화면은 일단 닫아줄께요

 

 

자 그럼 이런 웹 스트림 세부정보 라는 부분이 보이실거에요.

 

그럼 저기 가려놓은 곳중에 노란 형광색 부분으로 별도 표시된 '측정 ID'라는거 있죠?

저거 일단 복사해주세요.

 

 

자 그럼 다시 우리는 구글태그매니저로 돌아와서 계정을 만들어줄겁니다.

계정은 위에 이미지보고 참고해서 우리 웹사이트에 맞게 만들어주시면 됩니다.

 

저기 컨테이너 설정이라 하는데..

일단 컨테이너가 뭔지는 여기서 따로 설명은 안하겠습니다.

우리는 아직 GA설치하기에도 바빠요..!

 

그냥 웹사이트명 적어주시고 플랫폼 설정해주시고 하단에 만들기 버튼 클릭해서

늘 그렇듯 약관에 동의 동의 해주시면 됩니다.

 

 

자 그럼 이런 창이 뜰텐데 이거는 일단은 꺼주세요.

중요한 건데 나중에 다시 켤수 있으니 꺼주고 우리는 다른걸 할겁니다.

 

구글태그매니저의 기초 골조부터 잡고 갈겁니다. 

 

 

자 일단 메인에 있는 '변수'를 눌러주세요.

 

그리고 나서 사용자 정의 변수 새로만들기를 클릭해줍니다.

 

자 왼쪽 상단에 변수 이름은 'GAID' 로 설정해주세요.

GAID는 말그대로 GA ID를 의미하는건데, 따라오시다보면 무슨말인지 아실겁니다.

변수유형을 선택하세요 를 누르신다음 '상수'를 클릭

 

지금 당장 저 옆에 변수유형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몰라도 괜찮습니다.

일단 따라와 주세요.

 

자 여기까지 완료했다면,

우리가 아까 GA에서 무엇을 복사했죠?

GA 측정ID를 복사해놨죠?

네 값 부분에 복사한 내용을 붙여넣기 해줍니다.

그리고 ★저장★

 

 

자 그럼 우리는 다시 메인화면으로 돌아올거에요.

그럼 이번에는 태그탭으로 넘어가서 태그를 새로만들기 해줄겁니다.

 

 

태그 이름은 '구글태그'라고 설정해줄께요.(본인 편한걸로 해도 됩니다 / 추후 식별을 위함이에요)

그러고 난 뒤 태그 유형을 선택해서 'Google 태그'를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잘 따라오고 계시죠?

 

이제  태그의 태그ID를 설정해주시면 되는데,

저기 노란 형광색 표시해둔 곳 있죠?

저거 클릭해주세요.

 

자 그럼 이런 창이 뜰텐데

어? 저기 익숙한게 보이죠??

 

방금 저희가 바로 전단계에서 생성했던

GAID 라는 상수유형의 변수가 덩그러니 있는게 보이실거에요.

안보이면 문제 있는거니 전 단계 체크해보시면 됩니다.

 

우리가 만든 GAID 변수를 클릭해주세요

 

 

그리고 그 밑에 이 태그의 트리거를 선택해주시면 되는데,

 

 

자 그럼 저기 표시해놓은 초기화 유형을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 : 어? All pages 유형으로 하면 되지 않나요?

 

음 살짝의 설명을 드리자면,

구성태그는 다른 태그들보다 가장 먼저 실행되어야하며,

웹사이트의 모든 페이지에서 실행되어야 하기때문에

초기화트리거 (Initialization - All Pages)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자 그러면 이렇게 태그가 완성이 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기초 골조를 잡는다는 멘트를 치고나서부터 지금까지

태그 ID 변수를 만들기 위해서 달려왔다고 봐도 무방해요.

 

아니 저 {{GAID}} 가 대체 뭔데요????

 

저희는 앞으로 이벤트를 수도 없이 만들거에요.

네 정말 많이요.

 

이벤트를 만들어줄때마다 저 태그ID에 원래라면 구글애널리틱스 측정ID를 계속 복사 봍여넣기 해줘야합니다.

말만해도 번거롭죠?

하지만 우리는 아까 위에서 'GAID' 라는 변수를 만들어줬잖아요?

앞으로 이벤트를 만들때마다 태그 ID는 이런식으로 GAID 변수를 클릭해서 간단하게 넣어주시면 됩니다.

 

이해되셨죠?!

 

자 여기까지 완료가 되었다?!

 

그러면 GA와 GTM의 연동이 완료된 것입니다.

그럼 일단 90% 이상은 끝난거라고 생각하셔도 무방해요.

 

 

자 이제 그럼 아까 중요하다고 말씀드렸던 이 태그관리자를 설치해볼겁니다.

 

이거 아까 그냥 닫기 누르셔도 괜찮다고 했습니다.

다시 키려면 우측 상단에 제가 모자이크 처리한 부분 확인하셨나요?

GTM-******** 이렇게 생긴거용.

이거 클릭하시면 다시 이 창이 뜰겁니다.

 

자 이제 이걸 활용할건데,

일단 카페24 쇼핑몰이 있다는 것을 가정하에 안내드리겠습니다.

카페24 무료쇼핑몰 만드는건 그냥 구글링하면 금방 나오니까 그거 참고하시면 됩니다.

 

쉬워요.

카페24가입하고 만든다 끝!

 

자 카페24 쇼핑몰 관리 페이지로 접속해줍니다.

그리고 쇼핑몰 설정을 클릭해주세요.

 

 

그리고 나서 기본설정을 눌러주세요

 

 

자 기본 설정에서 검색 엔진 최적화(SEO)를 클릭해줍니다.

 

그 다음에 고급설정 > 코드 직접입력 선택

 

 

어? 뭔가 익숙한게 보이네요?

Head 영역과 Body 영역.. 어디서 봤더라~?!

 

 

아까 위에서 설명드렸던 이 태그관리자 코드

이거를 각각  Head 와 Body를 구분해서 넣어주시면 됩니다

※ 붙여 넣으실때 꼭 모바일 쇼핑몰도 같이 체크해서 넣어주세요!!!

 

네, 이제 GA설치가 끝났습니다.

 

※ 여기서 주의사항!!!

앞으로 GTM 상에서 어떤 이벤트를 생성하는 것이든, GA와 연결시키는 것이든

무엇인가 행하는 작업을 할때는

반드시 우측 상단의 파란 '제출' 버튼을 눌러주세요!!!

'제출' 버튼을 클릭해야 적용이 되고 실행이 되기 떄문에 

이는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자 그런 다음 본인의 GA에 접속하여 디버그 확장도구를 이용하는 등의 방식으로

제대로 설치가 되었는지를 파악해주시면 됩니다.

 

그럼 오늘은 여기까지

'G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그분석의 기본이해  (4) 2024.06.19
[GA] 자동 수집 이벤트와 추천 이벤트(+가이드)  (0) 2024.05.06
[GA] 이벤트의 기획  (0) 2024.05.06
[GA] 이벤트의 이해  (0) 2024.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