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단용어정리로 알아보는 로그분석의 과정 ]
- 이벤트
흔히 생각하는 '고객의 액션'
- 전환
그 중에서 관심있는 이벤트
- 클릭
말 그대로 클릭 자체만을 의미 (랜딩페이지 연결에 대해서는 보장X)
클릭했다는 정보 그 자체를 의미
- 세션
정보의 수신을 의미 (홈페이지 완벽하게 들어왔다)
EX)
고객이 고객센터에 전화를 건다
1. 전화를 걸어서 전화음이 들림(까지만 체크) - 클릭
2. CS 센터에서 전화를 받음 - 세션
- 로그분석의 대략적 과정
사용자가 클릭을 한다면 클릭정보가 광고관리자나 구글애즈(매체)로 전송
홈페이지가 열릴때까지 대기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연산작업이 일어남
홈페이지가 딱 열리는 순간에 구글서버에 세션이 열렸다고 로그분석기가 통보를 하게된다.
이 때부터 로그 분석이 시작되는 것이다,
우리는 로그분석을 할때는 위의 이유로 '세션'만을 체크할 것이다.
클릭이 정확히 몇번일어났을지에 대해서는 GA에서 체크하기는 어렵다.
[ 원시 로그분석과 UTM ]
- Referrer (리퍼러)
WEB to WEB 방식
웹에서 웹으로 이동하였을때만 Referrer로 찍힘
ex. 네이버에서 광고상품이 아닌 SEO에 의해 자연노출된 링크를 클릭(클릭이동)하여 홈페이지에 접속했을 때
naver.com / referral ← GA에는 이렇게 찍히게 됨
= 리퍼러가 있는 유입 = 리퍼러 유입 = 링크 유입 모두 같은 말
- 소스(Where) / 매체 (How)
GA에서 로그를 확인할 때는 위와 같은 형태로 찍히게 된다,
네이버 / 링크유입
→ naver.com / referral
▶ 유입 세분화로 로그분석을 쉽게하기 위함
- 매체 분석
원시 로그 분석 = 매체 분석 : none / referral / organic 딱 이렇게 3개 밖에 없었음
다만 원시 로그 분석에는 치명적인 오류가 있었다.
광고를 집행하고 있고 그 광고를 클릭한 사람의 경우에도 Organic 데이터로 잡히게 된다는 것
그렇기 때문에 순수 광고 유입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위해서 UTM을 도입하였다
- UTM : 도입원리
- UTM
형태 : https://dudtlssha.tistory.com?utm_source=nacer&utm_medium=cpc... ← 예시
영신놈
영신놈의 더 나은 마케터로 가는 길
dudtlssha.tistory.com
형태는 위와 같은 형태로 입력하면 되는데,
source, campagin, medium,contents 등등 뭐 암튼 많은데 이거 하나하나 적으려면 시간 어마무시하게 많이든다.
엑셀로 만들어도 되는데 문제는 값을 한글로 입력했을 경우, 인코딩이 되지 않아 GA에서 깨져서 보이게 된다.
가급적 값은 영어로만 적는 것을 추천한다.
UTM 태깅 하기 : https://ga-dev-tools.google/campaign-url-builder/
https://ga-dev-tools.google/campaign-url-builder/
ga-dev-tools.google
UTM 코드를 만들때는 그냥 왠만하면 위 링크로 만들도록 하자
얘를 통해서 만들면 한글로 값을 넣어도 알아서 인코딩해준다.
로그분석 = 성과분석 = 일반 유입 + UTM 유입 분석
로그분석은 결국 일반 유입과 UTM 유입 분석을 의미한다.
UTM은 광고 컨텐츠마다 매체마다 다르게 할 수 있다.
얼마나 세분화하냐에 문제이다. 세분화 할수록 끝도 없다.
떄문에 우리가 광고하는 무엇인가에 대해 어떻게 얼마나 세분화하여,
UTM을 적용할지에 대한 구획을 설정하고 최소한 모든 매체별로 UTM을 다르게 만들어 넣어보자.
*UTM 유입 = organic , referral , none 아닌 모든 매체
[ 측정 기준과 측정 항목 ]
- 텍스트 데이터
ex.학생이름, 국가명, 유입 소스
= GA에서는 텍스트 데이터를 '측정 기준 (dimension)'이라 부른다.
- 숫자 데이터
ex. 영어점수, GDP , 세션 수
= GA에서는 숫자 데이터를 '측정 항목 (metric)'이라 부른다.
ex) 다음중 측정 기준은 무엇인가?(GAIA문제)
1. 유입된 사람수 - 숫자데이터
2. 총 접속수 - 숫자데이터
3. 매출액 - 숫자데이터
4. 유입 국가 - 텍스트데이터 (정답)
[ 세션 및 사용자 ]
- 세션
= 의미 있는 접속
- 사용자
= 활성 사용자
= 의미 있는 방문자
(총)사용자 = 들어온 사용자 중 중복을 제거한 사람의 수
활성 사용자 = 총사용자 중에서 실제로 어떤 액션(스크롤,클릭 등)을 한 사람들
실제로 GA보고서에서도
(총)사용자는 표준 보고서에서만 사용가능
활성 사용자는 탐색 보고서에서만 사용가능
[ 참여와 이벤트 ]
GA4에서는 모든 데이터가 참여 또는 이벤트로 되어있다.
- 참여
10초이상 머물렀던가
두페이지 이상 조회했던가
1개 이상의 전환이 일어났던가
위 상황의 경우에는 참여로 기록됨
- 이벤트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모든 것
클릭도 이벤트, 10초이상 머무는 것도 이벤트, 스크롤도 이벤트
'GA' 카테고리의 다른 글
GTM을 활용한 GA4(구글애널리틱스) 설치하는 법 (카페24.ver) (17) | 2024.05.16 |
---|---|
[GA] 자동 수집 이벤트와 추천 이벤트(+가이드) (0) | 2024.05.06 |
[GA] 이벤트의 기획 (0) | 2024.05.06 |
[GA] 이벤트의 이해 (0) | 2024.05.06 |